안녕하세요. 위기의 코딩맨입니다.
오늘은 백준 2178번 문제 미로 탐색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78
2178번: 미로 탐색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www.acmicpc.net
문제를 이해하셨다면 input으로 데이터를 받아야합니다.
4 6
101111
101010
101011
111011
4,6을 A,B로 받아주도록 합니다.
A, B = map(int,input().split())
그리고 밑에 좌표에 해당 값들을 넣어주어야 합니다.
graph = []
for _ in range(A):
graph.append(list(map(int, input())))
graph를 출력해보면 해당 값이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다음으로 좌표 이동하기 위한 상하좌우 리스트를 만들어 주도록 합니다.
xd = [-1,1,0,0]
yd = [0,0,-1,+1]
해당 문제는 BFS 방식을 사용하여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ef BFS(x,y):
que = deque()
que.append((x,y))
while que:
x, y = que.popleft()
for i in range(4):
nx = x + xd[i]
ny = y + yd[i]
if nx < 0 or ny < 0 or nx >= A or ny >= B:
continue
if list_[nx][ny] == 0:
continue
if list_[nx][ny] == 1:
list_[nx][ny] = list_[x][y] + 1
que.append((nx,ny))
return list_[-1][-1]
하나씩 설명드리면 que를 사용하여 BFS를 구현했습니다.
que에 처음 시작 좌표를 넣어주고
while 루프를 que가 비었을 때 종료되는 조건으로 생성하고x와 y를 que.popleft()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넣어주고상,하,좌,우 4번의 for문을 통해서경로를 탐색하게 됩니다.이동경로를 벗어날 경우와 해당 값이 0일때는 다음 루프로 넘어가도록 하고1일 경우에 list[nx][ny]에 직전의 값에 +1 값을 넣어주고조건이 벗어나고 return 값에 마지막 값을 넣어주었습니다.
리스트의 마지막 값에는 이동경로의 마지막 값이 들어가게 되어 해당 문제의 정답 15가 들어있습니다.
'Python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raise - 에러 발생시키기, 예외 발생시키기 (65) | 2023.07.26 |
---|---|
[Python] 정규식 표현 - 비밀번호 유효성 검사 (38) | 2023.07.24 |
[We-Co] 구현 - 상하좌우 이동 알고리즘, 좌표이동 (4) | 2022.02.21 |
[We-Co] 이진탐색 알고리즘- Python (0) | 2022.02.16 |
[We-Co] DFS, BFS - Python (0) | 2022.02.15 |